(Webpack 2) 트리 쉐이킹을 해보자!
들어가기에 앞서
여기선 기본적으로 웹팩 1, 바벨, ES2015(ES6)을 알고 있다는 전제로 진행한다.
리액트 대신에 다른 서드 파티(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가지고 테스트하면서 이 글을 봐도 된다.
또한 이 글을 보고 나서 (Webpack 2) 코드를 분할해보자!도 보는 걸 추천한다.
트리 쉐이킹(Tree Shaking)??
트리 쉐이킹이란 나무를 흔들어서 필요없는 걸 떨어트리는 행위를 말한다.
여기서 우리에게 필요없는 것이란 쓰지 않는 코드를 뜻한다.
우리의 코드를 트리 쉐이킹 해보자
기존 웹팩 1에서 번들링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보자.
우선 모듈을 하나 만들어보자. (module.js)1
2export const a = 123123123123;
export const b = 45645646456;
그리고 이 모듈을 불러다 쓰는 우리의 앱을 만들자. (app.js)1
2import {a} from './module';
console.log(a);
하지만 번들링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쓰지도 않은 b가 들어가있는 반쪽짜리 모듈화가 된 셈이다.
아마 이게 ES2015의 Native Import가 아닌 CommonJS 스타일?인 것으로 알고 있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
/* 0 */
/***/ function(module, exports, __webpack_require__) {
'use strict';
var _moduleA = __webpack_require__(1);
console.log(_moduleA.a);
/***/ },
/* 1 */
/***/ function(module, exports) {
"use strict";
Object.defineProperty(exports, "__esModule", {
value: true
});
var a = exports.a = 123123123123;
var b = exports.b = 45645646456;
/***/ }
/******/ ]);
하지만 웹팩 2에서는 이런 ES2015 Native Import를 지원함으로써
쓸 데 없는 녀석(const b)을 나무에서 떨어트리는 트리 쉐이킹이 가능해진 것이다.
바로 알아보자!
일단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웹팩을 설치해보자.1
2npm init --y
npm i -D webpack
위에 적어놓은 app.js와 module.js를 똑같이 만들자.
그리고 webpack.config.js를 만들어서 아래와 같이 만들어주자.
바벨 없이 import/export를 쓸 수 있는 건 혁명이다!!1
2
3
4
5
6
7module.exports = {
entry: './app.js',
output: {
filename: 'bundle.js',
path: `./`
}
};
그리고 터미널에서 아래와 같이 번들링을 해보자.1
./node_modules/webpack/bin/webpack.js
하지만 번들링된 녀석을 보면 여전히 b가 남아있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
/* 0 */
/***/ (function(module, __webpack_exports__, __webpack_require__) {
;
const a = 123123123123;
/* harmony export (immutable) */ __webpack_exports__["a"] = a;
const b = 45645646456;
/* unused harmony export b */
/***/ }),
/* 1 */
/***/ (function(module, __webpack_exports__, __webpack_require__) {
;
Object.defineProperty(__webpack_exports__, "__esModule", { value: true });
/* harmony import */ var __WEBPACK_IMPORTED_MODULE_0__module__ = __webpack_require__(0);
console.log(__WEBPACK_IMPORTED_MODULE_0__module__["a"]);
/***/ })
/******/ ]);
트리 쉐이킹을 위해선 웹팩 2의 플러그인인 UglifyJS2를 이용하면 된다.
이제 webpack.config.js를 수정해주자.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module.exports = {
entry: './app.js',
output: {
filename: 'bundle.js',
path: `./`,
},
// 여기부터 추가된 내용
plugins: [
new webpack.optimize.UglifyJsPlugin({
// 사실 아래와 같이만 써도 트리 쉐이킹이 된다.
// compress: true
compress: {
// warnings: false, // 콘솔 창에 출력되는 게 보기 귀찮다면 요 놈을 주석 제거하면 된다.
unused: true // 요 놈이 핵심
},
mangle: false, // DEMO ONLY: Don't change variable names.(난독화)
beautify: true, // DEMO ONLY: Preserve whitespace (가독성 좋게 함)
output: {
comments: true // DEMO ONLY: Helpful comments (주석 삭제 안 함)
}
})
]
};
그리고 다시 아래와 같이 터미널에서 번들링을 해주자.1
./node_modules/webpack/bin/webpack.js
그럼 아래와 같은 로그가 터미널에 뜬다.1
2
3WARNING in bundle.js from UglifyJs
Collapsing constant a [bundle.js:75,60]
Dropping unused variable b [bundle.js:77,6]
Dropping unused variable b [bundle.js:77,6]
위 부분이 핵심이다.
다시 번들링 된 코드를 보면 깔끔하게 b가 제거된 것을 볼 수 있다.1
2
3
4
5
6
7/* 0 */
/***/
function(module, __webpack_exports__, __webpack_require__) {
"use strict";
/* harmony export (immutable) */
__webpack_exports__.a = 123123123123;
}
서드파티(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를 트리 쉐이킹 해보자
이 챕터는 다소 문제가 많다.
서드파티마다 모듈화 한 방식이 제각각이라 트리 쉐이킹 하는 방법이 다양하고,
나도 처음 접하다 보니 모든 서드 파티를 테스트 할 수가 없어서 대표적으로
react-router(4는 너무 변경 사항이 많아서 3) 요 놈만 건드려보았다.
react-router를 사용하기 위해 react를 설치해야 하고,
react를 사용하려면 react-dom도 설치해야하고,
또한 react를 쓰기 위해선 babel-preset-react를 설치해야하는데,
babel-preset-react를 쓰기 위해선 babel-core도 설치해야하고,
webpack에서 bable을 사용하기 위해선 bable-loader도 설치해야 하고,
uglifyJS2가 ES2015를 완벽하게 지원하지 않아서
babel-preset-2015(여기선 babel-preset-env)를 설치해야한다.
위에 절차가 복잡하므로 이해하지 말고 그냥 설치해버리자.1
2npm i -S react react-dom react-router@^3.x
npm i -D babel-core babel-preset-env babel-preset-react babel-loader
index.html 파일을 만들자.1
2
3
4
5
6
7
8
9
10
11
12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user-scalable=0"/>
</head>
<body>
<div id="app"></div>
<script src="./bundle.js"></script>
</body>
</html>
라우팅 할 컴포넌트 Comp.js를 하나 만들자.1
2
3
4
5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Comp = () => <h2>하이</h2>;
export default Comp;
그리고 app.js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보자.1
2
3
4
5
6
7
8
9
10
11
12import React from 'react/lib/React';
import {render} from 'react-dom/lib/ReactDOM';
import {Router, Route, hashHistory} from 'react-router';
import Comp from './Comp';
render(
<Router history={hashHistory}>
<Route path="/" component={Comp} />
</Router>,
document.getElementById('app')
);
webpack.config.json에 바벨 로더를 붙이자.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module.exports = {
entry: './app.js',
output: {
filename: 'bundle.js',
path: `./`,
},
plugins: [
new webpack.optimize.UglifyJsPlugin({
// 사실 아래와 같이만 써도 트리 쉐이킹이 된다.
// compress: true
compress: {
// warnings: false, // 콘솔 창에 출력되는 게 보기 귀찮다면 요 놈을 주석 제거를 하면 된다.
unused: true // 요 놈이 핵심
},
mangle: false, // DEMO ONLY: Don't change variable names.(난독화)
beautify: true, // DEMO ONLY: Preserve whitespace (가독성 좋게 함)
output: {
comments: true // DEMO ONLY: Helpful comments (주석 삭제 안 함)
}
}),
// 여기서부터 추가된 내용.
// 로더들에게 옵션을 넣어주는 플러그인이다.
new webpack.LoaderOptionsPlugin({
minimize: true,
}),
],
module: {
// 웹팩 1에서는 loaders를 썼지만 2에선 rules
rules: [
{
test: /\.js$/,
exclude: /node_modules/,
// 쿼리가 필요한 로더는 loader로 써줘야함.
// 쿼리가 필요 없는 로더는 use로 써도 된다.
// 웹팩 2에선 babel-loader와 같이 -loader 생략이 불가능해졌다.
loader: 'babel-loader',
// babel-loader?머시기와 같은 쿼리나 query: 옵션 대신에
// 웹팩 2에선 options: 로 바뀜.
// .babelrc로 따로 빼줘도 상관 없다.
options: {
presets: [
[
"env",
{
browsers: ['last 2 versions', '> 10%', 'ie 9'],
// babel-preset-2015에서는 Native Module을 쓰지 않는 것인지
// 아래 옵션을 주지 않으면 우리가 만든 코드(ES2015의 import/export Syntax)가
// 트리 쉐이킹 되질 않는다.
"modules": false
}
],
"react"
]
}
}
]
}
};
// DeprecationWarning: loaderUtils.parseQuery() received a non-string value which can be problematic, see https://github.com/webpack/loader-utils/issues/56
// parseQuery() will be replaced with getOptions() in the next major version of loader-utils.
// 위와 같이 로더 개발자를 위한 로그가 뜨는데 보기 싫다면 주석을 제거하면 된다.
// process.noDeprecation = true;
이제 번들링 된 파일을 보면 우리가 import 시키지도 않은 browserHistory가 들어있다.1
2
3
4
5
6
7
8/* 211 */
/***/
function(module, __webpack_exports__, __webpack_require__) {
"use strict";
/* harmony import */
var __WEBPACK_IMPORTED_MODULE_0_history_lib_createBrowserHistory__ = __webpack_require__(129), __WEBPACK_IMPORTED_MODULE_0_history_lib_createBrowserHistory___default = __webpack_require__.n(__WEBPACK_IMPORTED_MODULE_0_history_lib_createBrowserHistory__), __WEBPACK_IMPORTED_MODULE_1__createRouterHistory__ = __webpack_require__(103);
__webpack_require__.i(__WEBPACK_IMPORTED_MODULE_1__createRouterHistory__.a)(__WEBPACK_IMPORTED_MODULE_0_history_lib_createBrowserHistory___default.a);
}
이렇듯 서드 파티들은 트리 쉐이킹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아마 서드파티 제작자들도 우리가 쓴 ES2015의 import/export 문법을 썼지만 배포할 때는
babel-preset-2015의 Native가 아닌 모듈로 트랜스파일 된 놈이 배포되기 때문에 그런 게 아닐까 싶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별개의 모듈일 일일이 불러오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줘야한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import React from 'react/lib/React';
import {render} from 'react-dom/lib/ReactDOM';
import Router from 'react-router/es/Router';
import Route from 'react-router/es/Route';
import hashHistory from 'react-router/es/hashHistory';
import Comp from './Comp';
render(
<Router history={hashHistory}>
<Route path="/" component={Comp} />
</Router>,
document.getElementById('app')
);
다른 서드 파티들은 바로 import 시켜도 트리 쉐이킹 되는 애들도 있을 것이지만,
대부분의 서드 파티가 업데이트 되기 전까지는 저렇게 일일이 import 시켜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참조 링크
혹시 틀린 내용이 있다면 무한 태클 환영입니다 ~